본향 파트리스



πατρίς, ίδος, ἡ 스트롱번호 3968

1. 조국.   2. 고향
발음 [ patris ]
어원 /  3962에서 유래
  • 1. 조국, 고국, 요 4:44, 히 11:14.
  • 2. 고향, 마 13:54, 막 6:1, 눅 4:23.
  • 관련 성경 /  고향(마 13:54, 눅 4:23, 요 4:44), 본향(히 11:14).


3962. 파테르  πατήρ, πατρός, ὁ   

1. 아버지.  2. 조상
발음 [ patēr ]
  • I.  아버지.
  • II. [문자적으로]
    • 1. 아버지, 마 2:22, 막 5:40, 눅 1:17, 요 4:53.
    • 2. 조상, 선조, 마 3:9, 눅 1:73, 요 4:53.
  • III. [상징적으로]
    • 1.  영적인 아버지, 고전4:15.
    • 2.  [경칭] 마 23:9, 행 7:2, 22:1.
    • 3. 교회의 늙은 회원, 요일2:13,14.
    • 4. 이미 죽은 여러 세대의 기독교인들, 벧후3:4.
    • 5.  [구약의 위대한 종교적 영웅을 가리킨 경우] 롬4:11,12.
  • IV.  [하나님을 가리키는 경우]
    • 1. 창시자 또는 지배자로서의 아버지, 히12:9, 약1:17.
    • 2. 인류의 아버지.
      • a. [예수님의 증거에 나타난 것] 마11:27, 눅2:49, 요2:16.
    • 3.  [그리스도인의 고백에 나타난 것] 롬15:6, 고후1:3, 계1:6.
    • 4.  [하나님을 단순히 아버지라 부른 경우] 엡2:18, 3:14, 요일1:2.
  • V.  [귀신에 대해서]
    • 1. 유대인의 조상, 요8:44.
    • 2. 거짓말의 아버지, 요8:44.
  • 아버지(마 2:22, 눅1:59, 요5:17, 행16:3, 살전1:1), 조상(마 3:9, 눅1:32, 고전10:1), 열조(히 3:9, 8:9), 부모(히 11:23)

-------------------------------------------------------------------


aidos

아히-닥스'

품사: 명사 여성

에이도스 정의

NAS 단어 사용 – 총계: 1

  1. 수치심이나 명예, 겸손, 수줍음, 존경, 타인에 대한 배려, 존경

성경에서 겸손을 논할 때 그리스어로 아이도스(Aidos)가 갖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성서의 맥락에서, 겸손의 미덕을 논할 때 그리스어 단어 “아이도스”는 깊은 의미를 갖습니다. '아이도스'라는 용어는 단순한 겸손의 번역을 넘어 풍부하고 미묘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Aidos의 진정한 본질을 이해하면 겸손에 대한 성경적 가르침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이도스(Aidos)는 겸손, 존경, 존경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여기에는 타인에 대한 깊은 배려, 부적절한 행동에 대한 부끄러움, 자신에 대한 겸손한 태도가 포함됩니다. 성경에서는 겸손이 하느님을 기쁘시게 하고 다른 사람들과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는 미덕으로 자주 묘사됩니다.

겸손을 언급하는 성경 구절을 살펴보면, 우리는 종종 아이도스(Aidos)라는 기본 개념을 접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빌립보서 2:3-4에서 우리는 “아무 일에든지 다툼이나 헛된 자만으로 하지 말라. 오히려 겸손한 마음으로 자기보다 남을 귀히 여기고 자기 이익을 돌보지 말고 각 사람의 이익을 돌보아라.” 이 구절은 다른 사람을 우선시하고 그들의 행복을 소중히 여기는 겸손, 즉 아이도스(Aidos)의 개념을 요약합니다.

더욱이 아이도스는 하나님에 대한 깊은 존경심과 그분의 주권을 인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우리 자신의 한계와 불완전함을 인식하면서 하나님의 뜻에 항복하고 복종하는 태도를 반영합니다. 야고보서 4장 10절에서 우리는 “주 앞에서 낮추라 그리하면 주께서 너희를 높이시리라”고 상기시켜 줍니다. 하나님 앞에서 우리 자신을 낮추는 이러한 행위는 아이도스의 본질, 즉 하나님의 권위를 경건하게 인정하고 그분 앞에서 겸손한 태도를 취하는 것과 일치합니다.

성경에 나오는 그리스 문화의 수치심과 존중의 개념에서 아이도스는 어떤 역할을 합니까?

성경에 나오는 단어와 개념의 뉘앙스를 조사하려면 고대 그리스 사회의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그러한 단어 중 하나인 "아이도스(Aidos)"는 그리스 문화에서 수치심과 존경심에 관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성경의 맥락에서 아이도스는 명예, 수치심, 존경의 개념과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리스 문화에서 아이도스는 단순한 당혹감보다 더 넓은 의미로 수치심이라는 개념을 포괄했습니다. 그것은 옳고 정의로운 것에 대한 뿌리 깊은 도덕적 수치심이나 존경심을 나타냅니다. Aidos에는 권위, 전통 및 사회적 규범에 대한 존중의 강력한 요소도 포함되었습니다. 이 개념은 고대 그리스 사회에서 개인의 행동과 윤리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성경에서 아이도스라는 용어는 다양한 문맥에서 나타나며, 종종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이나 존경심과 관련됩니다. 이는 신에 대한 깊은 존경심과 명예를 의미하며, 아이도스를 경건과 도덕적 의식과 얽힌 미덕으로 이해하는 그리스 문화를 반영합니다.

성경에 나오는 아이도스의 개념은 도덕적 성실성, 겸손,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에 대한 경외심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는 개인이 자신의 행동과 다른 사람과의 상호 작용에서 존엄성, 정의, 명예를 지키도록 안내하는 도덕적 나침반 역할을 합니다.

그리스 문화와 성경적 맥락을 통해 아이도스는 수치심, 존중, 명예, 존경의 상호 작용을 구현하는 다면적인 개념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사회에서 조화로운 관계를 조성하고 도덕적 가치를 유지하는 데 있어 성실성, 겸손, 윤리적 행동의 지속적인 가치를 상기시켜 줍니다.

그리스어로 된 아이도스(Aidos)에 대한 이해는 성경 이야기에서 겸손과 명예라는 주제를 어떻게 밝혀 줍니까?

성경 이야기에서 그리스어 단어를 탐구하면 겸손과 명예와 같은 개념의 뉘앙스에 대한 심오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주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 단어 중 하나는 'Aidos'입니다. 고대 그리스어에서 파생된 아이도스(Aidos)는 겸손, 존경, 수치심이라는 개념을 담고 있습니다.

성경의 맥락 내에서 아이도스는 다양한 이야기에서 겸손과 명예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탐구할 수 있는 렌즈를 제공합니다. 아이도스를 통해 이해되는 겸손은 단순히 겸손한 태도에 관한 것이 아니라 자신과 타인에 대한 깊은 존중을 포함합니다. 이는 개인의 행동과 그것이 공동체의 명예와 평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을 반영합니다.

아이도스(Aidos)의 개념은 여러 성경 이야기의 구조에 복잡하게 짜여져 있습니다. 구약성서에서 우리는 등장인물이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 작용에서 강한 아이도스 감각을 나타내는 사례를 봅니다. 예를 들어, 시어머니 나오미에 대한 룻의 변함없는 충성심은 겸손과 명예에 대한 깊은 감각을 예시합니다. 그녀의 행동에는 가족 유대에 대한 깊은 존경심과 의로움과 고결함을 수호하려는 헌신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신약성서에서 예수의 가르침은 사람의 행동에 있어 아이도스의 중요성을 자주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산상수훈은 하나님 보시기에 참된 영예로 이끄는 미덕으로서 겸손과 온유의 가치를 강조합니다. 예수님의 가르침은 아이도스가 다른 사람을 향한 자신의 행동을 안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마음의 변화를 요구합니다.

그리스어 아이도스(Aidos)의 풍부함을 탐구함으로써 우리는 성경 이야기에 묘사된 겸손과 명예의 복잡한 역동성을 더 깊이 이해하게 됩니다. 이는 우리 자신의 행동과 우리 자신과 주변 사람들 모두를 존중하는 미덕을 지키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성찰하도록 도전합니다. 우리가 삶의 복잡성을 탐색할 때 Aidos의 개념은 우리의 행동이 우리 지역 사회의 존엄성과 명예 보존에 미치는 중대한 영향을 상기시켜 주는 길잡이 역할을 합니다.

결론

결론적으로, 성경 문맥에서 헬라어 단어 “아이도스(aidos)”는 깊고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종종 “경외” 또는 “존중”으로 번역되는 아이도스는 하나님을 향한 겸손과 명예를 의미합니다.
이 단어의 유래와 뉘앙스를 이해하면 성경 본문이 전달하고자 하는 미덕과 가치에 대한 더 명확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아이도스(aidos)”와 같은 그리스어 성경 단어의 언어적 풍부함을 더 깊이 탐구함으로써 우리는 신성한 본문에 대한 우리의 이해와 감상을 풍요롭게 하는 의미의 층위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ἐκκλησία, ας, ἡ 스트롱번호 1577


1. 회.   2. 모임, 운집. 3. 행 7:38
발음 [ ĕkklēsia ]
  • I.  회[정기적으로 소집되는 정치단체로서의 회합].
  • II. 모임[일반적인],운집, 행19:32,41.
  • III. [특히 종교적인 목적으로 모던 이스라엘 민족의 회중] 행7:38, 히2:12.
  • IV. [기독교] 교회 또는 회중.
    • 1. 교회 모임, 고전11:18, [참조] 고전14: 4,5,19,28,35.
    • 2. [한 장소에서 생활하는 그리스도인들 전체로서의] 교회 또는 회중, 마18:17, 행5:11, 8:3, 고전4:17, 빌4:15, [참조] 행15:22. [주]
      • a. [보다 제한적으로는 예루살렘에 있었던 교회] 행8:1, 11:22.
      • b. [겐그레아에 있었던 교회] 롬16:1.
      • c. [고린도] 고전1:2, 고후1:1.
      • d. [데살로니가] 살전1:1, 살후1:1.
      • e. [골로새] 몬1:2.
      • f. [다른 명칭으로] 계2:1,8,12,18, 3:1,7,14. [복수] 행15:41, 16:5, 롬16:16, 고전7:17, 고후8:18,19,23, 24.
      • g. [유대지방에 있는 교회들] 갈1:22, 살전2:14.
      • h. [갈라디아] 고전16:1, 갈1:2.
      • i. [아시아] 고전16:19, 계1:4.
      • j. [마케도니아] 고후8:1.
      • k. [각 개개의 교회에서] 행14:23.
    • 3. [가정 교회에 대해서] 롬16:5, [참조] 고전16:19, 골4:15, 몬1:2.
    • 4. [보편 교회] 마16:18, 행9:31, 고전6:4, 12:28, 엡1:22, 3:10,21, 5:23, 24,27,29,32, 빌3:6, 골1:18,24, 딤전5:16. [주] 지교회이자 보편교회는 특히 ‘하나님의, 그리스도의 교회’로 불린다. 이것은 본래 바울이 쓴 용법 이며 현재 헬라어 용어에 기독교적 색 채를 가미시켜주며 따라서 특별한 의미를 제공하는 데 기여한다.
      • a. [하나님의] 행20:28, 고전1:2, 10: 32, 11:16,22, 15:9, 고후1:1, 갈1:13, 살전2:14, 살후1:4, 딤전3:5,15.
      • b. [그리스도의] 롬16:16.
      • c. [두 가지가 함께] 살전1:1.
      • d. [기타 특별 형태] ἐ. τῶν ἁγίων, 고전14:33, ἐ. τῶν ἐθνῶν, 롬16:4.
  • 관련 성경  / 교회(마 16:18, 행 2:47, 롬 16:4), 모인 무리(행 19:32), 민회(행 19:39), 모임(행 19:41).

에크
ἐκ 스트롱번호 1537

1. 모음 앞에서는 ἐξ.  2. 마 2:15. 3. 요 15:19
발음 [ ĕk ]
I. 모음 앞에서는 ἐξ, 소유격 지배전치사: ~로부터, ~에서, ~의 밖으로.

καλέω 스트롱번호 2564

1. 부르다.  2. ㉠ ~라고 부르다. 3. 초대하다
발음 [ kalĕō ]
  • 1.  부르다.
    • a.  ㉠ ~라고 부르다, 이름하다, 일컫다, 마21:13, 눅20:44, 롬9:25, 약2:23. ㉡ 이름을 주다, 명명하다, 눅1:59. ㉢ [수동] 이름을 받다, 이름을 가지다, 일컬음을 받다, 눅1:60, 행1:19. ㉣ ~라고 한다, 마2:23, 눅1:32, 고전15:9, 히3:13.
    • b.  초대하다, 마22:3, 눅14:8, 고전10:27.
    • c.  불러모으다, 마20:8, 22:3, 25:14, 눅19:13.
    • d.  부르다, 마2:15, 행3:11, 히11:8.
    • e.  호출하다, 마4:21, 막1:20, 행4:18, 24:2.
  • 2.  [비유적] 부르다, 마9:13, 막2:17, 롬4:17, 고전1:9, 벧전5:10.

미완료 ἐκάλουν, 미래 καλέσω, 제1부정과거 ἐκάλεσα, 완료 κέκληκα, 완료 수동태 κέκλημαι, 제1부정과거 수동태 ἐκλήθην, 미래 수동태 κλη- θήσομαι, 2753의 어간과 유사

  • 관련 성경 / 부르다(마2:7, 막2:17, 행4:18), 일컬음을 받다(마5:19), 청하다(마22:3, 눅14:10, 12), 칭하다(마22:43, 눅20:44, 행3:11), 일컫다(마27:8, 눅1:32, 요일3:1), 이름을 짓다(눅1:62), 청함을 받다(눅14:8, 요2:2), 부르심을 받다(고전7:18,22, 엡4:1, 골3:15, 딤전6:12), 부르심을 입다(갈5:13).
창세기 19:29
하나님이 들의 성들을 멸하실 때 곧 의 거하는 성을 엎으실 때에 아브라함을 생각하사 을 그 엎으시는 중에서 내어 보내셨더라.
So when God destroyed the cities of the plain, he remembered Abraham, and he brought Lot out of the catastrophe that overthrew the cities where Lot had lived.

마태복음 16:18
또 내가 네게 이르노니 너는 베드로라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니 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하리라.
And I tell you that you are Peter, and on this rock I will build my church, and the gates of Hades will not overcome i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